본문 바로가기
코인

업비트, 빗썸에 상장된 신생코인들 정리

by 천억주부 2025. 7. 23.
반응형

나스닥 흐름 좋고 국장은 무너지던 장세에서 코스피가 서서히 힘을 보여주는 지금의 상황.

금은 조정을 받다가 더 오를거 같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고

관세 문제로 변동성을 예측할 수 없는 것이 지금의 상황이다.

이 상황 속에서 서서히 급등의 물살을 탄 것이 코인!

코인은 더군다나 4년만의 불장시즌이다. 

이 모든게.. 대선사이클, 거시 경제, 위기패턴, 사이클, 버블사이클, 부동산 주기 등

모든 게 맞물려 짜여진 거대한 스케일의 작전인지는 몰라도

돈이 어디로 움직이고 있는지는 유심히 관찰하고 미리 탑승해 있는 지혜를 키워야할 때다.

~

일단 이런 상황에서 

코인은 지난 시즌 이후로 참으로 많은 코인들이 상장했다.

22년~23년초 상장한 코인이 벌써 구코인이라 심리적으로 느껴질만큼

그후로 작년 올해만해도 계속 상장한다는 알림이 떠서 좀 정리를 해보자 한다.

이것이 기초다.

이번은 빗썸, 업비트에 상장한 코인이 좀 다르다. 

이번에 빗썸은 업비트보다 공격적으로 코인상장을 주도했고, 펌핑 또 예사롭지가 않다. 

지난 시즌엔 업비트에는 없고 빗썸에만 있는 코인도 주목할 만했었는데 이번엔 상장이 많아  가짓수가 많다.

펌핑명가로 이름이 높았던 빗썸, 농사를 22~23년에 좀지어놨는데 너무 일찍 지은거 같긴하다. 

그후로 이렇게나 많은 코인이 새로 생기고 시즌이 길어질 줄이야...

일단 코인 정리를 먼저 해보려고 한다. 그후엔 코인 순환매 순서와 관련코인 등을 차례로 글로 정리해보겠다.

이런게 정말.. 바로 도움이 되는 정보가 아닐까 싶다.

 

하반기 유망 테마는 단연코 ai & 빅데이터, RWA,리퀴드 스테이킹 및 리스테이킹(디파이), 

비트코인 생태계(BRC-20), 디파이2.0, 밈코인 등일 것.

알트가 저점에 저점을 뚫고 갔다가 겨우 본위치로 급등하는 이 상황에서

다시 하락이 온다면 솔직히,,, 풀매수 시점이라 생각하고.(과연 기회를 줄지. 이러고 기회를 준적도 많다)

그게 아니라면 대비는 가능해야할 만큼 매수는 들어갔어야 하는 시기.. 가 지금이라고 생각한다.

 

1. 테마별 분류

1) 인프라(레이어1, 레이어2)

-레이어1 :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아발란체(AVAX), 카르다노(ADA), 니어(NEAR), 알고랜드(ALGO), 테조스(XTZ), 셀레스티아(TIA)

-레이어2: 옵티미즘(OP), 아비트럼(ARB), 스타크넷(STARK), zkSync (ZK), 폴리곤(MATIC), 베이스(BASE), 스크롤(SCROLL)

2) 디파이

유니스왑(UNI), 커브(CRV), 에이브(AAVE), 컴파운드(COMP), 메이커(MKR), 스시스왑(SUSHI), dYdX(DYDX), 펜들(PENDLE), 지그재그(ZZ)

3) 게임&메타버스

디센트럴랜드(MANA), 더샌드박스(SAND), 갈라(GALA), 일드길드게임즈(YGG), 스타아틀라스(ATLAS), 아크(ARK), 비트호텔(BHOTEL), 렌더(RNDR)

4) AI & 빅데이터

그래프(GRT), 오션프로토콜(OCEAN), 싱귤래리티넷(AGIX), 페치.ai(FET), 누메라이(NMR), Bittensor(TAO), 레이븐코인(RVN), OriginTrail(TRAC)

5) 소셜파이, 웹3

프렌즈.tech (FRIEND), 레니어스(LEN), 디사이퍼(DSCPR), 미스트락스(MIST), 스테픈(GMT), DESO(Decentralized Social)

6) RWA

폴리매쓰(POLY), 센트리파이(CENT), 체인링크(LINK), 토큰파이즈(TOKN), 온파이낸셜(ONDO), Metrika

7) 분산 클라우드/ 스토리

파일코인(FIL), 아웨이브(AR/Arweave), 시아코인(SC), 비트토렌트(BTT), 스토리지(STORJ), 크러스트(CRUST)

8) BRC-20

ORDI, SATS, TRACER, VMPX, PIPE, RSIC, BitVM 관련 토큰들

9) 파생/리스테이킹

리도(LDO), 록켓풀(RPL), 스테이더(LSD), ether.fi (ETHFI), 펜들(PENDLE), EigenLayer 관련

10) 밈코인

도지코인(DOGE), 시바이누(SHIB), 플로키(FLOKI), 페페(PEPE), 도지체인(DOGECHAIN), POPCAT, BOME

11) 거래소코인

바이낸스코인(BNB), 크립토닷컴(CRO), 쿠코인(KCS), OKB, LEO, GMX, GNS

 

이 외에도 많다. 일단 코인을 분류한 것이고, 이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

이번엔 2023~2025년 신생코인 위주로 분류해보고자 한다. 각 거래소 별로 업비트, 빗썸을 나눠서 정리를 하는데 빠진 게 많을 수도 있다.

 

2. 업비트 상장 신생코인들

 

  • 레이어2 / DePIN / RaaS 인프라: ALT, HAEDAL, POKT
  • AI / L1 / 게임 데이터: ZETA, STG, PENDLE
  • 멀티체인 & 스토리지: AGLD, FIL, NEAR, XLM 등 USDT 마켓 상장군

3. 빗썸 상장 신생코인들

  • BTC 레이어2 : 하이퍼(비트코인 확장성, 빗썸 업비트 동시 상장)
  • RWA/디파이  : SYRUP, SPK
  • 이더리움 롤업 : 칼데라(확장성 솔루션)
  • 신원, 크로스체인 : H, OM(다체인 자산 연결 유틸리티)
  • 밈코인/실험성 : BABY, 소닉

몇 개 밖에 못적었지는 2023~2024년동안 약 110종 상장을 하며 공격적으로 상장을 해온 빗썸이다.

그래서 어떤 펌핑을 줄지 매우 기대되는 바이다.

펌핑 뒤엔 없어지는 코인도 물론 많을 것이라. 기회와 위험이 공존하는 곳.

2025년 상반기 주요 상장은 BTC 인프라 → DeFi/RWA → 롤업 → 신원/크로스체인 순으로 상장했었다. 

꼭 이순서대로 순환매가 돌아간다는 법은 없으니 흐름만 알고 가겠다.

 

다음에 좀 더 리스트업을 해서 추가해보도록 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