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코인 순환매 시리즈 2 - 시장순환구조

by 천억주부 2025. 8. 14.
반응형

시리즈 1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자금은 미국주식-> 금-> 코인 -> 신흥국 등으로 순환한다.

2편에서는 코인 시장 내부에서의 순환구조를 2025년 제도적 변화, 내러티브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미국 주식시장과의 연결성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다. 

코인에는 순환매라는 것이 있는데, 순환매 구조를 파악하면 다가오는 불장에서 같이 튀는 코인 계열들을 붙잡고 순서를 파악할 수 있기에 단기 트레이딩하기에 용이하다.  물론 저점에 잡았다면 사팔을 하지 말고 참고 참았다가 5파에서 파는 것이 좋고...

 

BTC --> ETH & 라지캡 알트 --> 테마, 밈(솔라나 계열)의 자금 회전과 미국 주식과의 연계성 

1. 1단계 - BTC 주도 

24년 1월 현물 BTC ETF 승인으로 인한 유입이 25년에도 확대되고 있다. 올해는 기관들 유입이 많아지면서 알트로 순환매가 돌았다기보다는 비트 혼자 그냥 막 달린 형세였다. 

비트는 지금 소폭 조정중이지만 9월 금리인하 기대감에 하반기 랠리가 펼쳐질지 기대된다. 

비트도미넌스랑  usdt도미넌스를 참조해보면 대략 그림이 나올 것이다. 

 

매크로 :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 연준 완화 사이클 기대가 살아나면 리스크-온으로 주식, 코인이 동반 강세를 탄다. 

(25년 cpi 완화 기대가 나온날 s&p, 나스닥, 비트가 동반 신고가, 강세를 보였다는 보도)

전략 : 이때는 비트 비중 위주, 레버리지와 알트는 보류

 체크리스트 : 비트 도미넌스 상방, etf 순유입 가, 미국cpi,fome호재 , 나스닥 추세 우상향

--> 현재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간 듯하다. 

 

2. 2단계 - 이더, 메이저 알트- 순환매의 시작 

비트가 급등후 속도조절(횡보, 완만한 조정)에 들어가면 그 수익은 이더와 라지캡 알트로 회전한다. 

현재 비트가 주춤한 사이 이더가 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라지캡 알트 (솔라나, bnb,에이다) , total2(알트 시총) 추세도 개선되는 중

 

미국주식과의 연결 : 테크 대형주의 속도 둔화, 섹터 순환 심화가 보이면 코인 내에서도 비트 중심 -> 이더, 라지캡으로 회전이 가속될 가능성이 큼. 즉, 같은 '성장/기술' 바스켓 안에서 상대가치 회전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셈.

 

전략 :  비트 비중 일부를 이더, 라지캡(인프라, l2, 스테이킹 수요가 있는 체인)으로 이동

리스크  관리 : 이더/비트 추세가 꺽이면 재빨리 비중 축소

 

3. 3단계 - 테마/ 밈, 솔라나 생태계 과열.- 내러티브

2025 핵심 내러티브 

RWA(실물자산 토큰화), DePIN(분산 인프라), AI 에이전트, 스테이블 코인/규제, L2/모듈러, 비트 L2 &  Runes가 2025년 강력 테마로 지목되는 중

광범위한 알트 동반 상승이 아니라 선택적 상승이라고 하는데, 지금까지는 불장때 모든 코인이 다 갔었긴 하다. 그래서 이 부분이 선택적 상승이 될지는 아직은 잘 모르겠다. 

 

솔라나 생태와 밈 

솔라나는 거래소 거래량, 밈코인 활성.

밈-과열-냉각-재순환 되는 사이클도 존재. 

 

비트 생태확장

24년 반감기 전후 Runes프로토콜의 등장으로 비트 네트워크 상 토큰, 밈 발행과 수수료체계가 바뀌었고 이로 인해 비트 생태라는 새로운 템슬롯을 만든 배경

 

어떻게 확인하는가?

비트도미가 하락, 온체인 신규 토큰/프로토콜 런칭 급증, 테마별 거래량 급증, 커뮤니티 지표 과열

뉴스에서도 특정 내러티브 기워드 급

 

미국주식과는 나스닥이 테마순환/개별 과열 국면일수록 코인은 밈/테마 과열과 동조하기 쉽다. 이때의 익절과 현금화 규칙이 성패를 좌우

 

전략 포인트 

단기 트레이딩 체계(진입, 익절, 손절, 현금화 비율) 명시

기본 비중은 라지캡으로 유지하고 테마는 위성 포지션으로 운용

거래량과 유동성 우선

 

4. 타이밍 프레임 워크 - 미국주식 - 코인

1) 매크로 이벤트 (연준, cpi, 고용)

- 완화 기대가 커질 때 주식, 비트 동반 강세 확률 높다. 

2) 대형 기술주 랠리 ( 속도 둔화, 순환)

- 나스닥이 폭발적 추세에서 속도 둔화되며 섹터 로테이션 상태가 되면 

코인 내에서는 비트-> 이더 라지캡 이 겹칠 공산이 높다. 

3) 테마 과열

- 주식에서 AI/반도체 내 개별 과열이 심해질수록 코인에서는 테마 / 밈 과열과 동조하기 쉬움

4)상관 구조

장기 평균은 낮더라도 국면별로 상관이 상승(20년 팬데믹 완화기엔 0.5대) -->레짐 전환시 동조성 노파.  

 

5. 실전 시그널

- 비트 도미  추세 : 상승하면 (비트 1단계), 하락하면 (2->3단계 전환)

- ETH/BTC : 일, 주봉으로 상승 전환이면 2단계 가능성 높아짐

- 현물 etf 플로우 : 이더, 비트 etf 순유입/ 순유출 추세가 방향성, 순매 강도 좌우 

                            https://farside.co.uk/btc/?utm_source=chatgpt.com

- 내러티브 / 온체인 활동성 : 신규토큰, 거래량, 수수료 급증(솔라나 덱스 기록적 거래량)-> 3단계 과열 신호 

-매크로 달력 : cpi/고용/fomc 주간엔 레버리지 낮아짐, 포지션 축소 규칙

-스테이블코인 순발행 : 시장 연료 지표

 

6. 리스크 관리

기본은 1,2단계에서 비트, 이더, 라지캡으로 주고 3단계 테마는 게릴라 포지션으로 운용하려고 한다. 

익절, 손절, 현금화 비율을 미리 정해놓기.

유동성을 최우선으로 하기 : 거래대금이 얇은 테마는 승률 좋아다 리스크 치명적임.

뉴스, 정책 이벤트는방향의 조건으로 가격, 거래량이 타이밍 결정.

 

 

위와 같이 1편에서는 돈은 자산간 순환한다고 봤고 

2편에서는 그 물줄기가 코인 매부에서 어떻게 세분하여 회전하는지 정리래봤다. 

2025년 판의 특증인 제도권 유입(현물 etf)와 내러티브의 선택적 과열이다. 

여기에 미국주식의 레짐 전환(완화 기대-> 테그 순환) 이 맞물릴 때

비트-> 이더/라지캡-> 테마/밈(솔라나 중신)의 회전이 전개되게 된다. 

이걸 알게 되고 주기적으로 점검하면 앞에서 순환을 기다리는 매매가 가능해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