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와이코프 패턴, 대입해야 알지.

by 천억주부 2025. 6. 18.
반응형

와이코프 패턴의 기본적인 패턴을 알았다면, 

축적, 분산 패턴도 알아야 할 것이다. 

 

1. 와이코프 축적 패턴(Accumulation Pattern)

와이코프 축적 패턴(스프링 유)
와이코프 축적패턴(스프링 무)

 

위의 그래프는 와이코프 축적 패턴 중 스프링의 유무에 따른 이미지이다. 

스프링이란 phase C구간에서 나오는데 , 바닥 지지선 아래로 일시적 이탈(함정 하락) 후 강하게 반등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은 가짜 하락을 유도하며 개미투자자를 손절하게 하고 약손을 털게 한다. 

그리고 세력이 바닥에서 사들이기 위한 최종 테스트이며 세력 매집이 완료됐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그리고 스프링 후 빠른 회복을 보이며 SOS(Sign of Strength) 구간에 진입하며 다음 상승의 시작점을 알리기도 한다. 

 

 * 스프링 구별 팁

-거래량 : 하락시 거래량은 적고, 회복시 거래량 급증

-모양: 하락 꼬리 또는 짧은 이탈-> 빠른 회복

- 시간 : 몇시간 내지 몇일만 머무름, 오래 머무르지 않고 반등

- 다음 반등 : 반등 후 LPS,SOS 형성하며 상승 신호 확인

 

*축적 패턴 설명

- phaseA 

  PS(preliminary supply)->SC(selling climax)->AR(automatic rally)->ST(second test)

PS는 일부 매수자들의 매수세가 나타나지만 하락 추세를 막을 수 없다. 초기 바닥을 형성.

SC는 투매의 끝에서 나타나며 종종 패닉 매도가 발생하는 변동성이 높은 지점이다.

이후 자동랠리 반등(AR)과 바닥 재확인(ST). 이때 sc근처까지 추가하락할 가능성 높다. (거래량과 변동성 낮아짐)

 아직 추세 미정, 관찰 영역이다.

- phase B

박스권 횡보 및 세력이 매집하는 구간(고래 축적의 시간)

상하 운동으로 일반 투자자들 혼란 유발. 저점 근처에서 분할 매수 고려 가능하다.

거래량 증가하면서 대향으로 매수하고 시장은 가격의 저항,지지를 테스트하며 형성됨.

-phase C

LPS

마지막 눌림.(베어트랩), 시장 조성자는 시장에 공급이 거의 남지 않도록 한다.

스프링(마지막 매수 작업인 함정 하락) 주의. 개미들의 매도를 마지막까지 유도한다.(안나올 수도 있음)

돌파 후 눌림목 매수 유효

 

-phase D

SOS->BU

거래량과 변동성 크게 증가. 저점을 높이고 고점을 높이는 박스권이탈하는 모양세.

상승 시작, 저항 라인을 상향 돌파함으로써 지지라인이 변경되는 강한 매수 신호(sos).

이후 마지막 눌림(LPS)이 발생할 수 있음. - 엘리어트 4파동에 해당

 

-phase E

본격적인 상승 트렌드 진입, 보유 및 분할 익절 전략 

매수자 증가. 가격 상향 돌파.  거래량 적고 가격범위(채널 패턴)이 좁은 것이 특징. 

 

일단 이론상으로는 이렇다. 

최적의 진입타이밍은 스프링 구간이다. 

 

21년 비트코인에 실전 대입해보면 잘 들어맞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