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3 지금 시장의 유동성, 어디에 와있나?(1) 목마른 자산시장 장세에.. 지식이나 보태고자... 몇자 정리해본다.나도 평범한 주부로 경제용어가 익숙치 않아 처음엔 힘들어했었지만 그 과정을 통해 익숙하게 되는 경험을 했고,지금은 모르는 용어가 나오더라도 이건 내가 알고 가야할 것이라는 책임감이 생겨 알고 소화시키려고 하고 있다.그러다 보면 하나하나 알아가지 않겠는가. 오늘은 그동안 정리해보았지만 정리되지 않았던 역레포, 지급준비금 개념을 드디어 이해한 날이다.(이야기가 길어지므로 이건 2탄에서)사실 전에도 3~4차례 봤지만.. 그때마다 이해를 했고 다시 볼때마다 새롭게 이해를 하기에오늘은 내 방식대로 정리란 걸 해보려고 한다. 그게 이 블로그의 목적이므로.미리 말해두는데 용어의 어려움에 속지말자. 어차피 알아야 하는 개념이다. 1. 유동성의 함정이란?.. 2025. 7. 10. 트럼프의 관세 폭격, 협상 후 반등할 종목은? 트럼프의 협상전술은 너무나도 많이 봐서 지칠 것이다.위협한 후 시장에 빅엿을 투척한 후 불안감을 조성한 후 협상을 유도하여 최고의 성과를 얻어내는 것.참으로 공격적이고 위험하지만, 강자이기에 할 수 있는 방법이다..당하는 입장이라 씁쓸하기만 할 뿐.아메리카인들의 마음은 어떨라나... 어제자 2025년 7월 7일 미국은 한국 및 몇몇 국가에 25% 상호관세 서한을 발송했고 8월 1일 발효를 예고했으며 "문은 열려 있다"며 넌지서 협상을 유도했다. 트럼프가 원하는 건 뭘까..이걸 예측하고 이재명 정부가 어느정도의 협상을 할것이라고 예측을 한다면..미리 그 섹터를 들어가 있는다면 협상 후 급등물살을 탈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조심스레 생각해본다.오늘의 생각은 그럴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는 헷제의 생각인 것이라... 2025. 7. 8. 일론머스크 아메리카당, 혹시 쇼? 주가의 영향은? 하아.. 정말.. 입이 떡 벌어진다.트럼프를 버금가는 양대산맥이라고 할수있는 쇼맨십을 가진 일론머스크.둘이 벌이는 정치공방과 이를 통해 미치는 자산시장의 영향력이란.... 일론머스크는 트럼프와 우리는 한몸을 외치는가 싶더니 갑자기 척을 지며 아메리카당을 창당 선언!바로 어제. 2025년 7월 6일자의 일이다. ㅎㅎㅎ 요즘 트럼프에 웃고 일론 머스크에 웃고.. 물론 허탈한 웃음이다.물론 테슬라의 주가는 약하락했다. 1. 정치적 쇼맨십 이유일단 아메리카당 창당 이야기도 x에서 나왔고 공식적인 정치 일정이나 조직, 인물 라인업도 없는 언론 플레이 중심이다. 이름만 있는 상태라는 뜻이다. 이는 정식 정당이라기 보다는 트럼프나 세상에 보여줄 머스크 개인의 영향력 확대용 메시지 수단에 가깝다. 머스크 성향상 이를 .. 2025. 7. 7. M2의 함정과, 자산 시장과의 관계 최근 M2가 늘어나면서 희망적인 전망이 보이기 시작한다. M2는 광의 통화지표로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를 말하며최근 몇년간 거시경제나 투자에서 m2의 증가는 곧 인플레를 의미하는 단순한 오해를 사기도 했었다.여러가지 예외적인 상황이 존재하기 때문에 연준은 지표에서 m2를 제외했다고 한다. 1. 인플레 가속화라는 오해많은 투자자들은 m2가 증가하면 반드시 물가가 오른다고 생각한다. 사실 나또한 m2가 오른후 비트코인도 올랐기에 지금도 살짝 기대하고 있는 중이다.인플레 같은 경우, 실제로 그렇지 않다. 2008년 이후 미국은 m2는 급증했지만 인플레는 낮았다.m2가 인플레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그 돈이 실제로 소비나 투자로 쓰이는 속도인 화폐 유통속도인velocity가 중요하다. * 화폐.. 2025. 7. 5. 2025 흥미로운 음모론, 재미로만... x에서 흥미로운음모론을 접하곤 좀 파헤쳐봐는데 한 번 풀어보겠다. 재미로 보기만...해석은 개인의 자유이니... 위 사진은 더이코노미스트에서 발행하는 The World Ahead시리즈 중 2025년판 표지이다. 이 시리즈는 주요정치, 경제, 기술, 국제 정세 등을 전망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표지에는 암시적이고 상징적인 이미지를 넣어 여러가지 음로론을 자아내고 있다. 표지의 시계열이 은유적이고 복선적이기 때문이다. 9시 부분이 1월로 해석하고 역방향으로 6시 부분이 4월, 3시가 7월, 12시방향이 10월 이렇게 해석한다고 한다. 이 관점에서 월별을 해석하면 음모론적이기보다는 구조적으로 이렇게 상징된다, 1. 상반기 상징 의미 -9시방향(1월) : 지구/여성얼굴/회색머리 인물 지구와 여성지도자 이미.. 2025. 7. 4. 비트코인에도 계절이 있다. 시즌성 패턴. 비트코인의 반등 타임이다. 단기반등일 가능성이 높지만...비트코인에도 계절성 패턴이 존재하는데, 거시경제나 기술적 분석 이외에도 이런 계절성 패턴도 알고 대응해야 하겠다. 2020년 이후 기관투자자의 유입이 늘고, 반감기 사이클, 세금 이슈, 대선 사이클 등 여러가지 요인이 맞물리면서 비트코인의 월별 시즌 패턴도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패턴에서 힌트를 얻고 대응해야겠다. 1. 비트코인 월별 시즌 패턴 월시즌 흐름특징1월강세 확률연초 자금 유입, 회복 탄력 강함.2~3월약세 또는 혼조세금, 거시 불확실성 증가4월반등 전통반감기 기대감, 자금 유입5월혼조세셀 인 메이 효과, 관망 장세6~7월비수기 / 조정거래량 감소, 기술적 반락 빈번8~9월하락 위험 전통적 약세 시즌(특히 9월)10월추세 전환기관 .. 2025. 6. 30.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