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

이재명 당선! 이제 경제는 어디로? 대통령이 확정됨에 따라, 이런 저런 감정적인 요소에 치우칠 거 없이 어떻게 해야 잘살 수 있는가를 빠르게 적용하여야 한다. 그래서 빠르게 훑어보고자 한다. 먼저 공약 내용과 수혜 분야를 살펴보면서 어떻게 대응해가야할 지 생각해보겠다. 1. 이재명 후보 주요 경제·산업 공약 요약 • ‘세계 선도 경제강국’ 실현: 이재명 대통령은 1호 공약으로 AI·첨단산업 집중육성, K-방산·K-콘텐츠 강화 등을 제시했다. 대표적으로 인공지능(AI) 등 신산업에 정부 예산을 대폭 늘려 민간투자 100조원을 유도하고, 국가 AI 데이터클러스터 등 인프라를 구축하는 한편, K-방산을 국가대표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 또한 ‘K-콘텐츠 지원 강화’로 글로벌 문화강국 기반을 만들.. 2025. 6. 4.
나에게로의 시선 마음이 어지러운 날들이 있다. 내 인생의 구조는 내가 직접 일을 해서 굴러가는 일, 그리고 돈이 일을 해서 굴러가는 일.그리고 이 모든 걸 가능하게 하는 게 체력과 멘탈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하나가 다 중요하겠으나 멘탈도 자기 관리처럼 그때그때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안그럼 몸도 마음도 방전이 되기 때문에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목록이다. 그래서 나는 마음이 어지러운 날들이나 기운이 빠지는 날, 설레는 날, 모두 중용이라고 해야하나? 내 중심을 잡기 위해 도서관을 향한다. 도서관은 내가 내 마음을 정돈하는 곳이다 . 그때그때 내 마음의 물음에 답해주는 책과 나의 미래를 설계해주는 책.그 현명한 생각과 대단하신 분들이 인생통찰이 담긴 그 책들로부터 얻는 위안은 대단하다.그래서 나는... 정말 건전하게도 .. 2025. 6. 2.
사이클 투자의 지표, 이건 알아야 할 걸. 인터넷을 알음알음 핫하게 돌아다니던, 1875년 사무엘 베너가 만든 배너사이클 지표이다. 약간의 오차는 존재하나 헉소리가 나올 정도로 맞는 부분이 있어 참조하기에 좋다. 지표에서 A는 공황, 붕괴 발생을 의미. 1927, 1945, 1981,1999, 2019, 2035, 2053B는 고점, 자산 매도 타이밍을 의미. 1926, 1945, 1989, 2007, 2026, 2043C는 지점, 매수 타이밍을 의미 1931, 1942, 1985, 2012, 2032, 2050 특정주기를 기준으로 C(저점)에서 B(고점)을 지나 A(붕괴)의 순환으로 보여진다. 닷컴버블도 그렇고 지난 사이클도 그렇고. 얼추 들어맞는 것이 이 지표를 무시할 수 없다. 오차가 존재하므로 시장, 경제,.. 2025. 5. 28.
2025 불장에 대한 메가사이클적 전략 비트는 신고가를 치고 있고, 갑자기 어느 방향으로 꺽을 지는 알수 없으니 상방으로 추세가 돌아섰다고 판단중이다. 연준의 FOMC는 6월초에 있고 잠깐의 조정이 올수도 있겠지만 상방으로 갈 것으로 본다. 테슬라도 로보택시를 다음달에 출시할 것이고 그 후 실적발표를 앞두고 있다. 현재의 시장팩트를 보이는 대로 정리해보겠다.- 한국 주식 반등: 바이오, 반도체 중심의 기술주 반등, 외국인 자본 유입 확대- 금리 인하 기대 : 연준과 한국은행 모두 2025 하반기 인하 기대- 채권 시장 혼조세 : 인하기대---> 가격 상승, 그러나 고착된 인플레 우려로 반등 제한- 코로나 재확산 : 동남아 일부 지역에서 재확산, 일부 바이오주 재부각- 비트 강세 사이클 : 2024 반감기 이후 사이클상 정점 국면 진입 중이나... 2025. 5. 23.
환율은 하락, 미국채는 상승? 해석이 시급하다. 환율과 금리, 채권의 이해관계를 한 번에 이해하기는 어려웠다. 거의 대부분 이론과 기존 패턴을 따르지만 최근에는 이론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그렇다고 이러한 흐름을 놓고 있을 수도 없었다. 매일매일이 다채로운 요즘 정세, 최소한 왜 그런지 알고는 지나가자. 1. 글로벌 거시 정세 요약(2025년 5월 기준)트럼프와 연준의 신경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관세전쟁과 불안정한 형국 속에서 시장도 투자자들도 서서히 시름시름 멍들기 시작했고, 그 열대우림 속에서 맞는 듯한 고통을 견디는 견디고 드디어.. 시장이 반등하기 시작했다. 물론 아직은 분무기로 물을 뿌리는 정도지만 1)미 연준의 첫 금리인하 시점은 6~7월중으로 예측하고 있다. - 배경 : 미국 핵심 PCE와 CPI가 점진적으로 둔화, 고용.. 2025. 5. 22.
불장 이후의 원자재에 대한 생각 거시경제의 큰 흐름 가운데서 흐름을 잡고 미시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패턴을 파악하고 구조화하는 것.이것이 지금 나에게 가장 필요한 일일 것이다. 결국 패턴과 흐름은 반복되고 그 패턴은 사람들의 심리와 정치경제금융 복합한 이해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나의 의견이 안맞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지금 시장은 기존의 패턴을 깬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에 예측한다는 것이 오만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과거를 모르고서는 미래도 없는 것이기에 이런 거시경제의 흐름은 알고 체득해두어야 한다. 지난 21년 불장의 고점 이후에는 지정학적 리스크(전쟁 발) 등의 큰 움직임이 일어났고 원자재가 급등하곤 했었다. 물론 내시야는 근시안적이기 때문에 래리 맥도날드의 이야기를 들어보도록 하겠다. 1. 원자재 투.. 2025. 5. 21.